0. 워터폴 프로세스
1. 프로젝트 계획
1) 기획자 업무
- 메인 시안용 기획 : 프로젝트의 성격을 이해하고 서비스 분석을 어느 정도 수행한 기획자가 디자인의 바탕이 될 메인 시안을 기획함
- 제안 범위 재협의
- IA 초안 작업
2) PM 업무
- 제안서, 제안견적서(기간 및 단가), 투입인력 계획서(일정 및 투입 인력 프로필) 작성
- 업무 분석 : 제안서를 바탕으로 업무 내용, 범위 등 파악
- 인력 구성 : 투입인력 계획서를 바탕으로 각 단계별로 필요한 인력 계산해서 배치
- 환경 세팅 : 프로젝트 룸, 개발 환경, QA 환경을 모두 포함
- 프로세스 정의 : 제안서를 바탕으로 프로젝트 프로세스, 인력 프로세스, 산출물 프로세스 정의
- 산출물 정의 : 제안서를 바탕으로 공식 산출물, 비공식 산출물 정의
- 일정 산정(상세 WBS) : 투입인력 계획서를 바탕으로 전체 기간 내에서 세부적인 일정 계획
2. 프로젝트 분석
1) 기획자 업무
- 환경 분석 : 외부 및 내부 환경 요인을 조사하고 이해
- 시장 환경 분석
- 업무 환경 분석
- 벤치마킹(경쟁사, 트렌디한 서비스)
- 요건 분석 : RFP를 쓴 사람(=제안을 평가한 사람)의 생각과 실제 실무의 업무 담당자는 다를 수 있음 ⇒ 실무 담당자가 이러한 이해의 차이를 조정해 프로젝트를 진행함
- ASIS(현재) 분석
- 담당자를 만나서 회의를 하며 요구사항 정의
- 개발자와 같이 개발 가능 범위 확인
- 콘텐츠 분석 : 여기서의 콘텐츠는 해당 서비스에 관련한 모든 것을 총괄함
- ASIS 분석
- 구조를 분석하면서 현재의 문제를 발견하고 IA 방향 정의
- 개선안 도출
- 정책 정의 : 뼈대가 되는 정책 정의 ⇒ 추후에 수정될 수 있음
- ASIS 분석
- ex. 본인인증 관련 기능 추가로 정책이 변경되어야 함
- 전략 정의
- ex. ID뿐만 아니라 이메일로도 회원가입이 가능하도록 재구성
- 서비스별 정책
- ex. 회원가입에 대한 정책, 회원등급에 대한 정책
- ASIS 분석
- 가이드 정의
- ex. 스토리보드(화면설계서), 문서명 가이드, 산출물 가이드 등
2) 타부서 업무
- ASIS 분석 / 상세 스케줄링 / 공수재산정 / 개발 환경 분석 / 디자인 벤치마킹 / 가이드 작업
3. 프로젝트 설계
1) 기획자 업무
- Information Architecture
- IA 구조 확정
- IA 별 업무배분
- 개발 리뷰
- 기능 정의
- 각 IA별 기능 정의
- 요구사항 정의 : 분석 단계에서 이미 정의한 요구사항이 있지만, 설계 단계에서 변형이 있으면 이에 대해 요구사항 정의서를 업데이트함
- 개발 리뷰
- 서비스 프로세스 정의
- 각 IA별 프로세스
- 정책 확정
- 개발 리뷰
- 와이어프레임
- 화면 설계(UI)
- 디스크립션 정의
- 개발 리뷰
- 스토리보드 완성 : 분석 단계의 요구사항 정의, 정책 정의에 대한 과정을 잘 마무리 한 후 이를 바탕으로 스토리보드를 설계해야 함
- 개발 리뷰 최종
- 커뮤니케이션 문서 완성
2) 타부서 업무
- 시스템 설계 / 퍼블 가이드 및 구현 / 디자인 가이드 및 구현 / 개발 범위 검토
4. 프로젝트 구현
1) 기획자 업무
- 스토리보드 리뷰 : 각 파트 리뷰
- 스토리보드 현행화 : 현행화 및 고도화
- 단위 테스트 : 실시간 단위테스트
2) 타부서 업무
- 디자인 / 퍼블리싱 / 시스템 개발
5. 프로젝트 검수
1) 기획자 업무
- 검수 및 스토리보드 고도화
- 디자인 검수
- 퍼블리싱 검수
- 스토리보드 고도화
- 단위 테스트
- 단위 테스트 시나리오
- 개발 단위 테스트
- 스토리보드 고도화
- 통합 테스트
- 통합테스트 시나리오
- 개발 통합 테스트
- 스토리보드 고도화
2) 타부서 업무
- 디자인 검수 / 퍼블 검수 / 개발 검수 / 성능테스트 / 품질검증 / 배포 준비
6. 프로젝트 종료
1) 기획자 업무
- 문서 최신화
- 정책서
- 요구사항 정의서
- Information Architecture
- 스토리보드
- 운영 메뉴얼 제작
- 화면별 운영메뉴얼
- UI 가이드
- 운영가이드
- 인수인계 준비
2) 타부서 업무
- 운영 가이드
- 완료 보고서
- 안정화 계획
- 유지보수 협의
7. 프로젝트 안정화
1) 기획자가 업무
- 시스템 오픈 후 대응
- 사용자 대응
- 시스템 모니터링
- 이슈 지원
- 미진한 서비스 및 개발 보완
- 오류 및 이슈 보완
- 최종 검수
- 최종 시스템 검수
- 검수 확인서
2) 타부서 업무
- 잔금처리
8. 프로젝트 산출물
'ACTIVITY > PM 스쿨 일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hap 14. 서비스 기획서 작성하기 (2) 벤치마킹을 통한 시장 분석, 요구사항 정의서, 정책 (0) | 2023.11.05 |
---|---|
Chap 14. 서비스 기획서 작성하기 (1) 사용자 분석, UXUI 분석, 서비스 분석, 트렌드 분석 (0) | 2023.11.05 |
Chap 13. 프로젝트 이해하기 (1) 프로젝트 개념 (0) | 2023.10.31 |
Chap 12. 기획자가 UX를 이해하는 방법 (0) | 2023.10.29 |
Chap 10. 서비스 정책서와 요구사항 정의서 (3) 규제 & 약관 (0) | 2023.10.2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