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0
31

0. 워터폴 프로세스

< 출처 : 제로베이스 강의자료 >

1. 프로젝트 계획

1)  기획자 업무 

  • 메인 시안용 기획 : 프로젝트의 성격을 이해하고 서비스 분석을 어느 정도 수행한 기획자가 디자인의 바탕이 될 메인 시안을 기획함
  • 제안 범위 재협의
  • IA 초안 작업

2)  PM 업무 

  • 제안서, 제안견적서(기간 및 단가), 투입인력 계획서(일정 및 투입 인력 프로필) 작성
  • 업무 분석 : 제안서를 바탕으로 업무 내용, 범위 등 파악
  • 인력 구성 : 투입인력 계획서를 바탕으로 각 단계별로 필요한 인력 계산해서 배치
  • 환경 세팅 : 프로젝트 룸, 개발 환경, QA 환경을 모두 포함
  • 프로세스 정의 : 제안서를 바탕으로 프로젝트 프로세스, 인력 프로세스, 산출물 프로세스 정의
  • 산출물 정의 : 제안서를 바탕으로 공식 산출물, 비공식 산출물 정의
  • 일정 산정(상세 WBS) : 투입인력 계획서를 바탕으로 전체 기간 내에서 세부적인 일정 계획

2. 프로젝트 분석

1)  기획자 업무 

  • 환경 분석 : 외부 및 내부 환경 요인을 조사하고 이해
    • 시장 환경 분석
    • 업무 환경 분석
    • 벤치마킹(경쟁사, 트렌디한 서비스)
  • 요건 분석 : RFP를 쓴 사람(=제안을 평가한 사람)의 생각과 실제 실무의 업무 담당자는 다를 수 있음 ⇒ 실무 담당자가 이러한 이해의 차이를 조정해 프로젝트를 진행함
    • ASIS(현재) 분석
    • 담당자를 만나서 회의를 하며 요구사항 정의
    • 개발자와 같이 개발 가능 범위 확인
  • 콘텐츠 분석 : 여기서의 콘텐츠는 해당 서비스에 관련한 모든 것을 총괄함
    • ASIS 분석
    • 구조를 분석하면서 현재의 문제를 발견하고 IA 방향 정의
    • 개선안 도출
  • 정책 정의 : 뼈대가 되는 정책 정의 ⇒ 추후에 수정될 수 있음
    • ASIS 분석
      • ex. 본인인증 관련 기능 추가로 정책이 변경되어야 함
    • 전략 정의
      • ex. ID뿐만 아니라 이메일로도 회원가입이 가능하도록 재구성
    • 서비스별 정책
      • ex. 회원가입에 대한 정책, 회원등급에 대한 정책
  • 가이드 정의
    • ex. 스토리보드(화면설계서), 문서명 가이드, 산출물 가이드 등

2)  타부서 업무 

  • ASIS 분석 / 상세 스케줄링 / 공수재산정 / 개발 환경 분석 / 디자인 벤치마킹 / 가이드 작업

3. 프로젝트 설계

1)  기획자 업무 

  • Information Architecture
    • IA 구조 확정
    • IA 별 업무배분
    • 개발 리뷰
  • 기능 정의
    • 각 IA별 기능 정의
    • 요구사항 정의 : 분석 단계에서 이미 정의한 요구사항이 있지만, 설계 단계에서 변형이 있으면 이에 대해 요구사항 정의서를 업데이트함
    • 개발 리뷰
  • 서비스 프로세스 정의
    • 각 IA별 프로세스
    • 정책 확정
    • 개발 리뷰
  • 와이어프레임
    • 화면 설계(UI)
    • 디스크립션 정의
    • 개발 리뷰
  • 스토리보드 완성 : 분석 단계의 요구사항 정의, 정책 정의에 대한 과정을 잘 마무리 한 후 이를 바탕으로 스토리보드를 설계해야 함
    • 개발 리뷰 최종
    • 커뮤니케이션 문서 완성

2)  타부서 업무 

  • 시스템 설계 / 퍼블 가이드 및 구현 / 디자인 가이드 및 구현 / 개발 범위 검토

4. 프로젝트 구현

1)  기획자 업무 

  • 스토리보드 리뷰 : 각 파트 리뷰
  • 스토리보드 현행화 : 현행화 및 고도화
  • 단위 테스트 : 실시간 단위테스트

2)  타부서 업무 

  • 디자인 / 퍼블리싱 / 시스템 개발

 

5. 프로젝트 검수

1)  기획자 업무 

  • 검수 및 스토리보드 고도화
    • 디자인 검수
    • 퍼블리싱 검수
    • 스토리보드 고도화
  • 단위 테스트
    • 단위 테스트 시나리오
    • 개발 단위 테스트
    • 스토리보드 고도화
  • 통합 테스트
    • 통합테스트 시나리오
    • 개발 통합 테스트
    • 스토리보드 고도화

2)  타부서 업무 

  • 디자인 검수 / 퍼블 검수 / 개발 검수 / 성능테스트 / 품질검증 / 배포 준비

6. 프로젝트 종료

1)  기획자 업무 

  • 문서 최신화
    • 정책서
    • 요구사항 정의서
    • Information Architecture
    • 스토리보드
  • 운영 메뉴얼 제작
    • 화면별 운영메뉴얼
    • UI 가이드
    • 운영가이드
  • 인수인계 준비

2)  타부서 업무

  • 운영 가이드
  • 완료 보고서
  • 안정화 계획
  • 유지보수 협의

7. 프로젝트 안정화

1)  기획자가 업무 

  • 시스템 오픈 후 대응
    • 사용자 대응
    • 시스템 모니터링
    • 이슈 지원
  • 미진한 서비스 및 개발 보완
    • 오류 및 이슈 보완
  • 최종 검수
    • 최종 시스템 검수
    • 검수 확인서

2)  타부서 업무 

  • 잔금처리

8. 프로젝트 산출물

< 출처 : 제로베이스 강의자료 >

COMMEN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