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벤치마킹을 통한 시장 분석
- 벤치마킹 : 보다 효과적인 개선 방안을 찾는 가장 능동적인 학습
- 측정 → 비교 → 학습 → 개선
- 경쟁사, 트렌드 주도기업, UXUI 트렌드, 디자인 트렌드 분석
- 대상 및 항목을 선정하여 벤치마킹 자료를 제작
- 전자정부 UXUI 가이드, 서비스 분석 1, 서비스 분석 2, 반응형 레이아웃, 주요 콘텐츠 상세 분석, 회원가입 등
- 인사이트를 도출한 후 정해진 방향이나 기준에 따라서 벤치마킹을 해야 함 ⇒ 목적없이 둘러보는 건 그저 웹서핑에 불과
- 벤치마킹을 하면서 현재 내 서비스의 위치를 파악하고 개선안을 도출해야 함
- 분석을 제대로 하지 않으면 주요 키워드를 꺼내기 힘듦
- 분석을 한 후 분석에서 무엇을 꺼내야 할지 아는 것 매우 중요
- 분석과 인사이트 도출을 잘하는 서비스 기획자
- 자신의 말과 글에 힘이 생김
- 서론, 본론, 결론의 흐름이 유연함
- 말과 글이 쉬워짐
2. 요구사항 수집 및 정의서 작성
1) 요구사항 수집
- 사용자, 현업 인터뷰
- RFP, VOC, 제안서, 설문조사 등의 데이터
2) 요구사항 정의서 작성
- 서비스 기획의 규모 파악
- 정확하게 요건을 정의해야 얼마만에 할 수 있을지 예측 가능
- 구현 가능 여부 의사결정
- 서비스 기획 일정 수립
- 분석 방향 도출 및 개선 방향 정의
- 회원가입 개선 ⇒ 회원가입율 올리기?(상위) 회원가입 프로세스 개선?(하위) 목적을 명확하게 하기
3) 요구사항 정의서 구성
3. 정책 정의
- 요구사항에 대한 정책을 명확하게 정의해야 함
1) 정책 협의
- 요구사항 협의 완료된 건을 기준으로 함
- 프로젝트 구축 담당자들이 반드시 알아야 할 내용
- 개발팀, 운영팀에게 특히 공유할 내용
- 서비스 설계 시 오류를 범할 수 있는 내용
- ex. 회원가입 시 지급되는 쿠폰 금액, 회원 탈퇴 적용 시점 등
- ASIS에서 크게 변화된 TOBE 항목 및 기능
- 상태값에 대한 정의를 제대로해서 프로세스에서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기
'ACTIVITY > PM 스쿨 일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hap 15. 포트폴리오 작성하기 (0) | 2023.11.11 |
---|---|
Chap 14. 서비스 기획서 작성하기 (3) IA, 유저 프로세스, 플로우 차트, 와이어프레임 (0) | 2023.11.11 |
Chap 14. 서비스 기획서 작성하기 (1) 사용자 분석, UXUI 분석, 서비스 분석, 트렌드 분석 (0) | 2023.11.05 |
Chap 13. 프로젝트 이해하기 (2) 프로젝트 과정 (0) | 2023.10.31 |
Chap 13. 프로젝트 이해하기 (1) 프로젝트 개념 (0) | 2023.10.31 |